Home
개발자로 살아남기
Cancel

LiveData

LiveData LiveData는 액티비티나 프래그먼트의 Lifecycle을 고려한 옵저버 패턴을 이용해 구현된 데이터 홀더 클래스이다. 액티비티나 프래그먼트의 생명주기인 STARTED, RESUMED 상태에서만 데이터의 변경사항을 관찰자에게 알려주며, 그 외의 상태에서는 변경사항을 알리지 않는다. 즉, A...

ViewModel

작성중.. ViewModel ViewModel은 View의 Lifecycle을 고려해 UI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클래스이다. 따라서, 화면 전환과 같은 변경 사항(UI를 다시 그리는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데이터를 유지시켜준다. 화면 전환이나 멀티 윈도우 모드로 들어갈 경우 액티비티나 프래그먼트는 onD...

적응형 아이콘 (Adaptive Icon)

적응형 아이콘 (Adaptive Icon) API 26 (Android 8.0) 이상부터 사용가능함 전경(foreground), 배경(background), OEM Mask 레이어들로 아이콘을 구성함 전경 : 실제 아이콘 배경 : 아이콘 뒤의 배경 이미지 OEM Mask : 핸드폰 제...

안드로이드 Theme 변경하기

최종 업데이트 : 2022-03-15 09:47:35 +0900 안드로이드 Theme 변경하기 Theme은 우리나라에서는 테마라고 부르고 영어권에서는 띰? 이라고 부른다. theme은 각각의 뷰 뿐만 아니라 앱, 액티비티, 뷰 계층에 적용되는 스타일의 집합이다. 하위 뷰에도 동일한 스타일이 적용되며 뷰가 아닌 상태바, 윈도우 백그라운드...

안드로이드 권한 요청하기

최종 수정일자 : 2022-03-14 23:17:18 +0900 안드로이드 권한 요청하기 안드로이드의 Dangerous 권한은 API 23(마시멜로우) 이상부터는 런타임 시에 권한을 요청하도록 변경되었으며 API 22 이하는 권한에 상관없이 설치시에 자동으로 부여된다. API 23 이상부터는 사용자가 Dang...

안드로이드 앱 권한

안드로이드 앱 권한 앱 권한은 제한된 데이터(시스템 상태 및 연락처 정보)와 제한된 작업(페어링된 기기에 연결 및 오디오 녹음)등에 대한 접근을 보호해 개인정보를 보호한다. 앱의 메니페스트에 권한을 선언할 때 앱에 필요한 권한만 추가해야 한다. 앱 권한의 전체 목록은 아래와 같다. 전체 목...

옵저버 패턴 (Observer Pattern)

옵저버 패턴 (Observer Pattern) 옵저버 패턴은 관찰자(Observer)들이 어떤 객체(Subject)를 구독함으로써 객체(Subject)에 변화가 발생했을 때 관찰자(Observer)들에게 상태 변화나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디자인 패턴이다. 관찰을 받을 대상(Subject)에는 관찰자(O...

MVP 패턴

이 글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생각하고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MVP 패턴 MVP 패턴은 Model, View, Presenter의 앞자리를 딴 MVC 패턴에서 파생된 패턴으로, 컨트롤러 대신 프레젠터가 존재한다. MVC 패턴에서는 뷰/컨트롤러에서 모델에 접근해 데이터를 가져와 어떻게 표현할지 정했지만, MVP ...

MVC 패턴

MVC 패턴 이 글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생각하고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MVC와 MVP 패턴을 이해하려면 먼저 왜 이러한 아키텍처 패턴을 써야하는지 알아야 한다. 아키텍처 패턴 위키에 따르면 아키텍처 패턴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아키텍처 패턴(architectural pattern)은 주어진 문맥 안...

디자인 패턴

작성중… 마지막 업데이트 : 2022-03-19 18:48:01 +0900 주요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이란 객체 지향 설계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 맞는 패턴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를 디자인 패턴이라고 한다. 여기서 특정 상황이란 클래스, 객체의 구성, 객체 간 메시지 흐름에서 알맞는 설계를 하는 것이다. ...